게임 '*용과 같이'에 나오는 '*바보같이'라는 발라드 곡의 후렴구입니다. 정확한 가사는 '*다메다네'인데 인터넷 상에서는 '*다메다메'와 혼용해서 사용됩니다. '다메다네'와 '다메다메'는 늬앙스의 차이만 있지 둘 다 안된다는 뜻입니다.
2017년 11월 27일 유튜버 'Dobbsyrules'가 바보같이를 립싱크하는 영상을 업로드 합니다. 해당 유튜버는 노래의 분위기에 맞게 술을 마시면서 애절하게 립싱크합니다. 당시에는 별 다른 관심을 받지 못했습니다.
2020년 7월 19일에 인디 게임 '얀데레 시뮬레이터'를 개발한 'YandereDev'의 영상에 *딥페이크 기술로유튜버 'Dobbsyrules'의 바보같이 립싱크 영상을합성한 영상이 올라옵니다. 기괴하게 일그러지는 얼굴과 특유의 느끼한 노래가 어우러지면서 웃기다는 반응이 있었고 여기저기 퍼지면서 유행하게 됩니다. 일부 사람들은 불쾌하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이후 선풍적인 인기로 다양한 패러디가 제작되면서 용과 같이 제작사인 세가의 공식 트위터에서도 언급이 되기도 했습니다.
외국에서는 'Dame Da Ne' 또는 'Baka Mitai' 밈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용과 같이: 세가(SEGA)에서 발매된 액션 어드벤처 게임.
*바보같이: ばかみたい, 바카미타이.
*다메다네: だめだね, 안 될 거야.
*다메다메: だめだめ, 안돼 안돼.
*딥페이크: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인간 이미지 합성 기술.
다메다메 원본
다메다메 밈의 시작 / YandereDev 영상에 Dobbsyrules 영상을 딥페이크로 합성한 영상